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다우존스, S&P 500, NASDAQ100 지수 차이점

by minitistics 2025. 1. 27.

미국 증시 우상향해왔음.

- 미국은 한국의 2배가 넘는 1인당 국민소득.

  •    2023년 미국 1인당 국민총소득 (GNI) = $83,000 (약 1억 439 만원)
  •    2023년 한국 1인당 국민총소득(GNI) = $36,194(약 4,705 만원)

- 미국 국가 전체에서 창출되는 소비 규모 매우 큼 -> 강력한 소비는 기업의 매출을 늘리고 주가 상승시키는 원동력

-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는 고급 인력들 계속 유입

-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등 제 4차 산업혁명 선도

- 지난 10년간 지수는 S&P500 178% 상승, 나스닥은 302% 상승

 

1.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Dow)

 

-1884년 미국의 월스트리트 저널 편집장인 찰스 다우(Charles H.Dow)가 처음 창안

- DJIA, Dow 30 또는  다우 지수 등으로도 불린다.

- 30개의 우량기업 주식 종목들로 구성. 개별기업 수익률의 총합을 회사 또는 기업의 개수로 나누는 수익률 평균 방식을 따른다.(주가가 높은 기업일수록 평균값에 더 큰 영향) => 특정 기업의 주가 변동이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큼

- 다우지수의 종목은 통상적으로 S&P 500에도 포함되어 있음

2025 1월 DJIA

 

2. S&P 500

 

- S&P (Standard and Poors) 가 개발한 주가지수.

- 1957년 3월에 100 포인트로 시작

- 미국 내 증권거래소 상장기업 시가총액의 80%이상을 차지하는 500개의 우량기업 포함되어 대표적인 미국 주가 지수.

- 시가총액 방식으로 선정한 지수

- 다우존스(30개 기업)보다 더 많은 기업(500기업)을 대상으로 하므로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 파악 가능

2025 1월 S&P 500

 

 

3. NASDAQ 100

 

- 미국 나스닥 시장 상장 종목(벤처/테크기업) 중 시가 총액이 크고 거래량이 많은 100개 비금융 업종 대표 기업

- 1985년 1월부터 선정되어 발표

- 주요 기업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 등 

2025 1월 NASDAQ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