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 대한 흥미가 생길 즈음 한국을 방문하게 되었는데, 그 때 집어들어 기어코 호주까지 가지고 온 책.
이제 막 미국 월배당 ETF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무척 유용한 내용을 담은 책이었다.
용어 정리 되어 있는 부분이나, 시가배당률, TTM의 다른 점에 대한 개념을 잡고 싶은 사람.
ETF 수익률 비교,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보가 있어서 꼭 똑같이 따라하지 않더라도 어떤 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짜고,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감을 알아보고 싶다면 추천한다.
이 포스팅에서는 공부/교육 목적의 용어 내용 정리와, 서로 다른 배당률이 왜 다른지, ETF 배당 수익률을 선택할 때 서로 다른 배당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담아보았다.
책에 나온 ETF 외에 현재 공부하면서 흥미로운 ETF를 추가하여 최근 버전 파일로 만들고 있다. 완성하면 공유 하는걸로 :)
1. 주식 배당 용어
배당락일(Ex-Dividend Date):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어지는 날. 이날 1영업일 이전까지 주식을 매수한 상태여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도해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매도 물량으로 이날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배당기준일(Record Date):
이날에 주주 명단에 등록되어 있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배당기준일 2영업일 전에는 주식을 매수한 상태여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배당지급일(Payment Date = Dividend Date):
배당금이 입금되는 날
배당성향(Payout Ratio):
당기순이익(Net Income) 대비 배당금으로 지급되는 금액의 비율. 개별 주식 투자 시 중요한 지표지만 펀드의 성격을 가진 ETF투자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시가총액(Market Cap):
Market Capitalization의 줄임말로 주식수*주식가격을 의미한다.
총수익률(Total Return):
주가 상승으로 얻는 주식수익률과 배당수익률을 합한 총수익률이다.
YTD(Year to Date) Return: 연초 이후 수익률
아래는 같은 내용이지만 한 번에 표로 보는 것이 더 편할 수도 있어 정리해보았다.

2. 시가배당률 vs 1년 배당률(TTM)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 (배당금/주가)*100


3. 디비던드와 시킹알파에서 공시하는 배당률이 다른 이유:
시가배당률:
가장최근 배당된 2024년 12월 배당금은 0.3948 달러다. 최근 배당금에 12를 곱하고 가격으로 나누어주면 시가배당률이 나온다.
0.3948*12 = 4.7376/59.1 = 0.0801 = 8.01%
1년 배당률(TTM: Trailing Twelve Months):
반면 1년 배당률(TTM: Trailing Twelve Months)는 최근 1년 동안(2024년 1월~12월) 매월 지급된 배당금을 합하여 계산한 배당률이다.
아래의 12달 Amount Amount를 합하여 가격으로 나누어주면 1년 배당률을 구할 수 있다.

다수의 ETF는 시가배당률과 1년 배당률(TTM)의 편차가 심하지 않으나, 편차가 매우 심한 종목에 투자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최근 1년 배당률이 아닌, 시가배당률만 참고하여 투자하다가 낭패볼 수도 있음. 최근 1년 배당률을 보고 시가배당률을 점검한 후 투자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배당률 검색을 위해서는:
- 시가배당률: Dividend.com
- 최근 1년 평균 배당률(TTM): Seekingalpha.com.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vered Call(커버드콜) 이해하기 쉬운 설명. ETF 주의할 점 (0) | 2025.01.31 |
---|---|
DeepSeek이란? 트럼프와 정부 그리고 엔비디아 주가 영향 (3) | 2025.01.28 |
다우존스, S&P 500, NASDAQ100 지수 차이점 (3) | 2025.01.27 |
댓글